728x90
반응형
암호화폐는 탈중앙적이고 익명성이 높은 만큼 보안 사고에 특히 취약한 자산입니다. 한 번 해킹당하면 복구가 어렵고, 개인의 실수로 수천만 원에서 수억 원까지 피해를 보는 경우도 드물지 않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코인 투자자가 반드시 숙지해야 할 핵심 보안 수칙 5가지를 정리해드립니다.
✅ 1. 개인 지갑의 시드 구문은 오프라인에 보관하라
- 메타마스크, 트러스트월렛 등 **12~24개 단어의 시드 문장(seed phrase)**은 계정 복구의 열쇠
- 절대 사진 찍어 클라우드에 저장하지 말고, 종이에 써서 오프라인 보관
📌 QR코드, 텍스트파일 저장도 위험함
✅ 2. 이중 인증(2FA)을 반드시 설정하라
- 구글 OTP 또는 Authy 등을 활용한 2FA는 거래소와 지갑을 지키는 기본 중의 기본
- 이메일 인증만으로는 너무 위험함
📌 특히 바이낸스, 업비트 등 거래소 이용 시 필수
✅ 3. 디스코드·텔레그램 링크는 절대 클릭하지 말 것
- 가장 많은 해킹 피해 사례는 디스코드 DM 또는 텔레그램 링크 클릭 후 피싱 사이트 접속
- NFT 커뮤니티 위장 계정도 주의
📌 공식 링크는 반드시 홈페이지에서 직접 확인 후 접속
✅ 4. 하드웨어 지갑 사용 고려하기
- 장기 보유 및 큰 금액 자산은 Ledger, Trezor 등 하드웨어 지갑에 보관 권장
- 인터넷이 차단된 오프라인 환경에서 보안 강화 가능
✅ 5. 브라우저 확장 지갑 사용 시 주의
- 피싱 확장 프로그램, 위장된 지갑 업데이트 링크 클릭 금지
- 지갑 연결 시 허용 권한(approve contract) 꼭 확인
📌 가능한 한 매번 지갑 권한 초기화 추천 (Revoke.cash 등 활용)
728x90
반응형
'코인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5년 4월 4째주 코인 시장 정리 – 비트코인 약세 전환? 반감기 앞둔 조정장 분석 (0) | 2025.04.20 |
---|---|
코인 자동매매 봇, 정말 수익이 날까? – 전략별 수익률 비교와 현실 팩트 체크 (0) | 2025.04.20 |
스테이블코인이란? – USDT, USDC, DAI의 차이와 투자 시 주의점 (0) | 2025.04.19 |
암호화폐 세금, 얼마나 내야 할까? – 2025년 기준 정리 (1) | 2025.04.19 |
중앙은행 디지털화폐(CBDC)란? – 암호화폐와는 다른 미래 화폐의 모습 (0) | 2025.04.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