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코인이야기

스테이블코인이란? – USDT, USDC, DAI의 차이와 투자 시 주의점

by 캐시스나이퍼 2025. 4. 19.
728x90
반응형

스테이블코인은 암호화폐 시장의 ‘디지털 달러’로 불릴 정도로 중요합니다. 시장 급등기에는 안전한 피난처로, 하락기에는 거래 기반 자산으로 활용됩니다. 하지만 스테이블코인이라 해서 모두 안전하진 않다는 점, 알고 계셨나요?

이번 글에서는 대표적인 스테이블코인 3종 – USDT, USDC, DAI의 구조적 차이와 투자 시 주의할 점을 간단하게 정리합니다.


✅ 스테이블코인이란?

  • 법정화폐(달러 등)와 1:1로 가치가 고정되도록 설계된 암호화폐
  • 탈중앙 거래소(DEX)나 거래소 간 송금 시 활용
  • 가격 안정성 덕분에 코인시장 ‘현금’ 역할을 함

✅ 대표 스테이블코인 비교

코인발행 구조특징발행 주체

USDT 중앙화 가장 널리 쓰임, 투명성 논란 테더사
USDC 중앙화 미국 규제에 근접, 높은 투명성 서클 + 코인베이스
DAI 탈중앙 과잉 담보형, 이더리움 기반 MakerDAO

📌 USDC는 규제 적합성, DAI는 탈중앙성 측면에서 투자자들이 선호


✅ 스테이블코인 투자 시 주의사항

  1. 준비금 증빙 여부: 발행 주체가 실제로 자산을 보유 중인지 확인
  2. 극단적 시장 상황 시 디페깅(de-pegging) 가능성
  3. 스테이블코인 기반 DeFi 투자 시 스마트컨트랙트 리스크 존재

✅ 활용 전략

  • 하락장 회피: 위험자산에서 현금성 자산으로 대피
  • LP 제공자 보상: 스테이블코인으로 유동성 공급 → 안정 수익
  • 수수료 아끼는 송금: 거래소 간 전송 수단으로 활용 (속도 + 수수료 우수)
728x90
반응형